"우분투 설치할 목록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Kim135797531 (토론 | 기여) 잔글 |
Kim135797531 (토론 | 기여) 잔글 |
||
157번째 줄: | 157번째 줄: | ||
xkeymap.keysym.Hangul_Hanja = "0x0f1" | xkeymap.keysym.Hangul_Hanja = "0x0f1" | ||
</syntaxhighlight> | </syntaxhighlight> | ||
* 크롬 원격제어 | |||
** 우분투에서 쓰고 있는 화면 안 나오면 이거대로 하기 | |||
** https://superuser.com/questions/778028/configuring-chrome-remote-desktop-with-ubuntu-gnome-14-04/850359#comment1966661_850359 | |||
* DBMS GUI viewer | * DBMS GUI viewer | ||
185번째 줄: | 189번째 줄: | ||
* 화면 캠쳐 | * 화면 캠쳐 | ||
** gtk-recordmydesktop | ** 그냥 OBS Studio가 짱인듯; | ||
** 영상 프레임, 소리 주파수 바꾸자 | ** 안 쓰는 거 | ||
** 아래 pulse 소리 설정 참조 | *** gtk-recordmydesktop | ||
*** 영상 프레임, 소리 주파수 바꾸자 | |||
*** 아래 pulse 소리 설정 참조 | |||
* pulse 소리 설정 | * pulse 소리 설정 | ||
414번째 줄: | 420번째 줄: | ||
:* 설치가 끝나면 다시 깔끔하게 레포지토리를 지우자 | :* 설치가 끝나면 다시 깔끔하게 레포지토리를 지우자 | ||
:** | :** | ||
<syntaxhighlight lang="bash"> | <syntaxhighlight lang="bash"> | ||
sudo add-apt-repository -r "deb http://archive.canonical.com/ precise partner" | sudo add-apt-repository -r "deb http://archive.canonical.com/ precise partner" |
2020년 6월 20일 (토) 13:03 판
2015년 7월 27일 (월) 01:09에 마지막으로 수정됨
단축키&명령어
필수
-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
- unetbootin
- 더 편한 패키지 설치
- aptitude, Synaptic Package Manager
- 모든 입력기를 다 써본 결과 벼루가 그나마 나음.
- uim, uim-byeoru
- uim-pref-gtk
- 기본 ibus 비활성화
- gsettings set org.gnome.settings-daemon.plugins.keyboard active false
- gsettings set com.canonical.indicator.keyboard visible false
- (내 노트북-SVE14A27CKH 한정) xmodmap -e 'keycode 108 = Hangul' 으로 해결. 이것도 시작시 자동 실행되게 하는 걸 잊지 말 것.(gnome-session-properties) xev로 키코드 확인 후 배정하면 된다.
- uim, uim-byeoru
- 설정 편집기 (레지스트리 편집기와 비슷)
- dconf Editor
- Simplenote
- 구글 킵이 히스토리 저장이 안 되서 빡침..
- 무료!
- https://app.simplenote.com/
- 스샷 프로그램
- shutter
- 동영상 재생기
- bomi
- smplayer
- 음악
- clementine
- 웹 브라우저
- google chrome 또는 chromium
- 크로미움에서 프로필 열지 못함 에러가 날 경우, 일단 브라우저에서 계정 연결을 끊고, 터미널창에서 크로미움을 켰다가 제대로 켜지는 걸 보고 끈 다음에 다시 켜서 로그인 하면 된다.
- 그리고 자꾸 로그인 키 잠금을 물어보면, '암호 및 키'를 검색해서 '로그인' 항목의 암호를 그냥 똑같은걸로 다시 바꿔주면 된다.
- 다운로드 한 파일을 클릭하면 파일이 안 열리고 다운로드 폴더가 열린다면
- ~/.local/share/applications/mimeapps.list 에서 x-scheme-handler/file=exo-file-manager.desktop 앞에 주석처리(맨 앞에 # 붙이면 됨)
- 크롬을 커맨드로 설치하려면
wget -q -O - https://dl-ssl.google.com/linux/linux_signing_key.pub | sudo apt-key add - sudo sh -c 'echo "deb http://dl.google.com/linux/chrome/deb/ stable main" >> /etc/apt/sources.list.d/google.list'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install google-chrome-stable
- 파티션 매니저
- gparted partition editor
- 커스텀 쉘
- terminator, pac manager(무거우나 강력함)
- pac manager에서 쉘 입력 보존(방향키 같은) 하려면 rlwrap으로 감싸기 설정
- Asbru manager
- FTP 프로그램
- filezilla
- 클립보드 저장
- glipper
- Git diff 및 브랜치 보기
- Giggle
- 그래픽 편집기
- gimp
- NVIDIA 그래픽카드 최상의 성능 뽑아내기
- /etc/modprobe.d/powermizer-kdm.conf
options nvidia NVreg_RegistryDwords="PowerMizerEnable=0x1;PerfLevelSrc=0x2222;PowerMizerDefault=0x1;PowerMizerDefaultAC=0x1"
- /etc/X11/xorg.conf 안의 Device 항목에 Coolbits 넣어주기
Section "Device"
Identifier "Device0"
Driver "nvidia"
Option "Coolbits" "24"
VendorName "NVIDIA Corporation"
BusID "PCI:2:0:0"
EndSection
Section "Device"
Identifier "Device1"
Driver "nvidia"
Option "Coolbits" "24"
VendorName "NVIDIA Corporation"
BusID "PCI:129:0:0"
EndSection
- pdf viewer
- Okular가 로딩도 잘 되고 좋음
- 기본 evince는 안정적
- 우분투용 adobe pdf는 버전도 낮고, wine 위에서 돌아가서 호환성 최악(창 최대화 불가, 렌더링 문제 등)
- wps office의 pdf reader는 예쁘나 로딩이 너무 느림
- ubuntu 18.04 gnome 멈추진 않았는데 마우스 클릭이 안 될때 (focus 이동 먹통)
- 인텔 CPU 터보부스트 최고 클럭 조정
- cd /sys/devices/system/cpu/intel_pstate
- echo "17" tee ./min_perf_pct && echo "17" | tee ./max_perf_pct
- echo "17" tee ./min_perf_pct && echo "100" | tee ./max_perf_pct
- 시스템 팬 속도 정책 설정
- sudo apt-get install fancontrol
- sudo pwmconfig
- sudo service fancontrol restart
- (2020년 6월 기준 수냉쿨러 설정)
# Configuration file generated by pwmconfig, changes will be lost INTERVAL=10 DEVPATH=hwmon1=devices/platform/coretemp.0 hwmon2=devices/platform/it87.2608 DEVNAME=hwmon1=coretemp hwmon2=it8728 FCTEMPS=hwmon2/pwm1=hwmon1/temp1_input FCFANS= hwmon2/pwm1=hwmon2/fan1_input MINTEMP=hwmon2/pwm1=50 MAXTEMP=hwmon2/pwm1=70 MINSTART=hwmon2/pwm1=150 MINSTOP=hwmon2/pwm1=0
옵션
- IDE
- Eclipse, QT Creator, CLion, PyCharm
- QT Creator 에서 탭을 사용하려면, 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tabbededitor/ 에서 플러그인을 받아 qtcreator의 plugins 폴더에 넣어주면 된다.
- 우분투 자동 설치를 이용했다면 경로가 이 곳일 것 => /usr/lib/x86_64-linux-gnu/qtcreator/plugins
- PyCharm에 Black 적용 (문법 정리)
*** 설정에서 Tools -> File Watchers
Program: /usr/local/bin/black
Arguments: -l 88 $FilePath$
Output paths to refresh: $FilePath$
Working directory: $ProjectFileDir$
Advanced Options 에서
(체크 해제) Auto-saved edited files to trigger the watcher
(체크) Trigger the watcher on external changes
- 가상 머신
- VMware player
- VMware player 상의 윈도우에서 한/영키가 잘 먹지 않는다면, 다음과 같이 키 매핑을 추가해준다.
sudo vi /etc/vmware/config
** 커널 3.19 이상에서 모듈 설치가 안 되는 문제는, 다음을 참조 (https://wiki.archlinux.org/index.php/VMware#3.19_kernels)
xkeymap.keysym.Hangul = "0x0f2"
xkeymap.keysym.Hangul_Hanja = "0x0f1"
- 크롬 원격제어
- DBMS GUI viewer
- mysql-workbench, pgadmin3
- 마우스, 키보드 공유
- synergy git clone 후 직접 빌드하기. 최신 버전은 더 이상 무료로 제공되지 않는다.
- 한컴오피스 뷰어
깔고 싶지 않아!!!!!
- 커맨드라인 프로세스 매니저
- htop
- 파일 기록 삭제
- activity-log-manager
- 멈춘 프로세스 쉬운 디버깅
- crash-watch (https://github.com/FooBarWidget/crash-watch)
sudo add-apt-repository ppa:phusion.nl/misc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crash-watch
crash-watch <PID> # 죽는 순간 정보 보여줌
crash-watch --dump <PID> # 즉시 스택 트레이스 보기
- 화면 캠쳐
- 그냥 OBS Studio가 짱인듯;
- 안 쓰는 거
- gtk-recordmydesktop
- 영상 프레임, 소리 주파수 바꾸자
- 아래 pulse 소리 설정 참조
- pulse 소리 설정
- pavucontrol
- 위 영상 캡쳐에서 캡쳐 시작 후 recording 탭에서 소리 연결해줘야 한다
- ovg -> avi 동영상 인코딩
- ffmpeg -i input.ovg -vcodec mpeg4 -acodec libmp3lame -ss 00:00:02 -qscale 1 output.avi
- -ss 시작 시간
- -qscale 화질, 숫자가 낮으면 좋다
유용한 명령어
- grub 배경 바꾸기
sudo add-apt-repository ppa:danielrichter2007/grub-customizer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grub-customizer
- 마이크 입력을 그대로 출력
- 편한 방법
sudo apt-get install gstreamer-tools
gst-launch pulsesrc ! pulsesink
- 위의 방법이 안되면 다음 방법도 써 본다.
# 이 명령어로 하드웨어 이름을 알아낸다.
pactl list > list.txt
# 이 명령어로 출력을 시작한다. --latency-msec 은 짧으면 좋지만 잡음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값으로 한다.
pacat -r --device=alsa_input.pci-0000_00_1b.0.analog-stereo | pacat -p --latency-msec=50
- 이런 방법도 있다.
sudo apt-get install pavucontrol
pactl load-module module-loopback latency_msec=1
- synergy 스크립트로 실행
- 서버(키보드와 마우스가 있는 컴퓨터), conf 파일은 GUI를 통해 만들어 두어야 한다.
#!/bin/sh
CMD=`./synergys -f --debug NOTE --name kdm-pc -c ./synergys.conf --address :24800 &`
- 서버 설정파일 -> 양 방향을 지정하고 단축키 지정으로 Ctrl+` 로 작업 기기 전환 구현 (출처: https://davejamesmiller.com/blog/synergy-hotkey-to-toggle-screens)
section: screens
kdm-server:
halfDuplexCapsLock = false
halfDuplexNumLock = false
halfDuplexScrollLock = false
xtestIsXineramaUnaware = false
switchCorners = none
switchCornerSize = 0
kdm-pc:
halfDuplexCapsLock = false
halfDuplexNumLock = false
halfDuplexScrollLock = false
xtestIsXineramaUnaware = false
switchCorners = none
switchCornerSize = 0
end
section: aliases
end
section: links
kdm-server:
left = kdm-pc
right = kdm-pc
kdm-pc:
left = kdm-server
right = kdm-server
end
section: options
relativeMouseMoves = false
screenSaverSync = false
win32KeepForeground = false
switchCorners = none
switchCornerSize = 0
keystroke(Control+`) = switchInDirection(right)
end
- 클라이언트
#!/bin/sh
CMD=`./synergyc -f --debug NOTE --name kdm-server --display ":0" alkga.iptime.org:24800 &`
- 클라이언트 원격 실행(의존성: expec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)
#!/usr/bin/expect -f
spawn ssh -p 8022 [계정]@alkga.iptime.org `/home/kdm/kdm-synergy/synergyc -f --debug DEBUG --name kdm-server --display ":0" alkga.iptime.org:24800 &`
expect "assword:"
send "[비밀번호]\r"
interact
- alacarte 으로 우분투 아이콘 바로가기를 만들자.
- 실행도 쉽고 터미널 아이콘하고 분리도 되서 좋다.
- /home/kdm/kdm-synergy/synergys -f --debug NOTE --name kdm-pc -c /home/kdm/kdm-synergy/synergys.conf --address :24800 추가, 터미널 사용은 체크 해제.
- 시작시 창 최소화
sudo apt-get install devilspie
mkdir ~/.devilspie
vi ~/.devilspie/teamviewer.ds
(if
(is (application_name) "Teamviewer")
(begin (minimize) )
)
- ntfs 파티션 자동 마운트
- 먼저 sudo blkid 명령어로 원하는 파티션의 UUID를 알아 놓는다.
- sudo vi /etc/fstab 으로 fstab 파일을 연다.
- 맨 아래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저장한다. 여기서 UUID는 위에서 확인한 걸로 한다. /media/kdm/Win8.1은 자신이 원하는 마운트 경로로 바꿔 준다.
#umask=000 해서 권한 777으로 만든다
UUID=B846EC2A46EBE6DA /media/kdm/ExtLarge ntfs-3g defaults,user,locale=ko_KR.UTF-8,umask=000 0 0
- 패키지 삭제
- apt-get remove test
- 설정파일은 삭제 안 함
- apt-get purge test
- 설정파일까지 삭제
- apt-get remove test
- vim 커스터마이징
우분투용 커널 수동 설치
- 다운로드
- 공식 배포처
- wget [커널 공용 헤더] (linux-headers-버전-...-all.deb]
- wget [커널 아키텍쳐 전용 헤더] (linux-headers-버전-generic-...-amd64.deb]
- wget [커널 아키텍쳐 전용 이미지] (linux-image-버전-image-...-amd64.deb]
- 설치
- sudo dpkg -i linux-headers*.deb linux-image*.deb
- 설정 후 재부팅
- sudo update-grub
- sudo reboot
이제 안 씀
- 시디롬 멀티부스트로 인한 CPU 고 점유율 해결(인터럽트 문제)(SVE14A27CKH 한정)
- 원인 찾기 https://bugzilla.kernel.org/show_bug.cgi?id=53071
- 해결 http://askubuntu.com/questions/176565/why-does-kworker-cpu-usage-get-so-high
- 임시적인 적용은 echo disable > /sys/firmware/acpi/interrupts/gpe13
- OpenJDK -> Oracle JDK 전환
- 이클립스 등 의존성 제거 없이 전환 가능
- 1. 오라클 jdk 설치
- sudo add-apt-repository ppa:webupd8team/java
- sudo apt-get update
- sudo apt-get install oracle-java7-installer
- 2. 전환되었는지 확인
- sudo update-alternatives --config java
- 3. OpenJDK 삭제
- sudo apt-get purge openjdk*
- 와인, playonlinux로 카카오톡
- Unity Tweak Tools
sudo add-apt-repository ppa:tualatrix/ppa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unity-tweak-tool
- Google Keep
- 통합 메모
- 단독 실행법은 다음과 같다.
chromium-browser --ppapi-flash-path=/usr/lib/pepperflashplugin-nonfree/libpepflashplayer.so --enable-pinch --profile-directory=Default --app-id=hmjkmjkepdijhoojdojkdfohbdgmmhki
- AMD 하이브리드 그래픽을 사용한다면, fglrx를 사용하지 말 것.
- 공식 배포(소프트웨어 업데이트)에서 설치해도 low graphic mode로 진입하는 버그가 있다.
- /usr/lib64 심볼릭 링크로 해결(sudo ln -s /usr/lib /usr/lib64)
- 명령어 입력 전에 lib64 폴더가 비어 있는지 확인(날아간다)
- 멀티 모니터 사용시 화면이 깨지는 버그가 있다.
- 다음 내용을 ~/.config/autostart 폴더 안에 xrandr.desktop 이런 식의 파일로 넣어 놓으면 부팅시마다 자동 세팅
- scale이 중요한데, scale을 써야 GPU가 연산을 해서 충돌이 없어지는 듯 하다.
- 공식 배포(소프트웨어 업데이트)에서 설치해도 low graphic mode로 진입하는 버그가 있다.
[Desktop Entry] Type=Application Name=kdm-script Exec=xrandr --output LVDS1 --auto --scale 1.0001x1.0001 --output HDMI1 --auto --scale 1.0001x1.0001 --left-of LVDS1 Icon=system-run X-GNOME-Autostart-enabled=true
- 어도비 리더
- 더 이상 어도비 리더는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는다. 우분투 기본 탑재된 에빈스 뷰어를 쓰던가, 아니면 캐노니컬 파트너 레포지토리 저장소에 있는 옛날 버전 어도비 리더를 설치하자. (버전 9.5.5)
- 설치법
sudo add-apt-repository "deb http://archive.canonical.com/ precise partner"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acroread
- 설치가 끝나면 다시 깔끔하게 레포지토리를 지우자
- 설치가 끝나면 다시 깔끔하게 레포지토리를 지우자
sudo add-apt-repository -r "deb http://archive.canonical.com/ precise partner"
sudo apt-get update
- 그래픽 프로세서 사용량 보기
- radeontop
USB2VGA 설정
- 절대 안됨 다시는 시도하지 말자. 시간만 날렸다.
- USB 일련번호 0711:5100 인 싸구려 USB 그래픽카드인데.. 윈도우에서는 되는데 우분투에서는 절대 안됨
- 우분투 버전 14.04에서 리눅스 커널 4.0으로 업뎃했는데도 안됨
- lsusb 하면 그제서야 뭔가 하려는 듯 하다가 멈춰버림.
- 커널에 drivers/usb/misc/sisusbvga/sisusb.c 안에다가 0711:5100 써도 안 됨
- ko 파일을 만들어서 insmod해도 안 되고 그냥 안됨
- 무슨 짓을 해도 안됨!!! 짜증